STUDY/멀티미디어콘텐츠과정

#27 [영상제작] 애펙 Parent기능

korino39 2022. 1. 5. 11:43

 

● parent 기능

 

 

이 기능은 복잡한 오브젝트 소스들의 모션을 간단하게 한꺼번에 통제를 하거나, 향후 수정을 할시 parent 소스만 수정 함으로써, 각각의 소스들을 따로따로 수정할 필요가 없이 손쉽게 하기 위해서 쓰는 기능이다.

 

많은 솔리드를 배경 하나에 연결 한 뒤, 배경에 트랜스폼을 줌으로써, 향후 솔리드 (또는 기타 소스)들의 편집이 있을 경우 손쉽게 가능하다.

 

아래의 화살표방향으로 각 솔리드들의 모션을 주고 시어서 일단 줬다고 가정을 하자.

그런데 아래와 같이 1,2,3번의 솔리들의 위치를 바꾸고 싶은 경우가 생겼을 때, 하나하나 솔리드 창에서 트랜스폼까지 수정하기에는 여간 고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Null Object를 주어서 거기에만 트랜스폼을 걸어주고 나머지 솔리드들에는 아무런 트랜스폼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각 소스들을 Null Object에 parent를 걸어주면 Null Object의 움직임 하나로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해진다.

 

 

몇가지 특징이 있는데,

 

1. parent의 앵커 포인트까지 공유를 한다.

2. 자식이 연결한 부모의 트랜스폼에 영향을 받는다.

   단 Opacity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parent 시킬 때의 시간타임이 중요하다. 시작 지점을 맞춰주거나 모든 움직임이 끝난 뒤 인디게이터를 확인하고 연결해 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식 요소가 어중간한 위치에서 모션을 먹을 수 있다. 확실하게 모션이 끝난 인디케이터가 오른쪽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걸어주도록 하자. 

 

반응형